작일 익일 무슨 말
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시간 표현
약속 날짜를 정할 때 이런 대화 나눠본 적?
"회의는 작일에 했는데요?" "아니요, 익일로 연기됐다고 했잖아요!"
그러다가 서로 말하는 날짜가 다르단 걸 뒤늦게 알았을 때의 그 당혹스러움! 😅
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가끔 사용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시간 표현,
'작일'과 '익일'에 대해 알아보자.
비슷하게 들리지만 정반대 의미를 가진 이 두 단어
작일 익일 무슨 말
작일 vs 익일, 각각 무슨 뜻일까?
결론부터 말하자면:
- 작일(昨日): 어제, 오늘의 전날
- 익일(翌日): 내일, 오늘의 다음날
두 단어 모두 한자어인데, 정반대의 의미를 갖고 있다.
그래서 헷갈리면 큰 오해가 생길 수도!
'작일'과 '익일'의 어원
이 단어들의 뜻을 더 쉽게 기억하기 위해 한자 어원을 살펴보자.
작일(昨日)
- '昨(작)'은 '지나간'이라는 뜻이다.
- '日(일)'은 '날'이라는 뜻.
- 즉, '지나간 날' = '어제'를 의미한다.
익일(翌日)
- '翌(익)'은 '다음'이라는 뜻이다.
- '日(일)'은 '날'이라는 뜻.
- 즉, '다음 날' = '내일'을 의미한다.
실생활에서의 사용 예
'작일' 사용 예
- 작일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을 알려드립니다.
- 작일 방문했을 때는 아무도 없었어요.
- 작일 날씨가 너무 더웠어요.
'익일' 사용 예
- 주문하신 상품은 익일 발송됩니다.
- 시험은 익일로 연기되었습니다.
- 행사는 오늘 시작해서 익일까지 계속됩니다.
비슷한 시간 표현들
'작일'과 '익일' 외에도 과거와 미래를 나타내는 다양한 시간 표현이 있다.
과거를 나타내는 표현
- 전일(前日): 앞날, 이전 날(어제)
- 전날: 바로 앞선 날
- 지난날: 이미 지나간 날
- 저번: 이전 번
미래를 나타내는 표현
- 명일(明日): 내일
- 내일: 오늘 다음 날
- 다음날: 어떤 날의 그 다음 날
- 차일(次日): 그 다음 날
기타 시간 표현
- 당일(當日): 바로 그 날
- 금일(今日): 오늘
- 본일(本日): 오늘
- 타일(他日): 다른 날
공식 문서와 일상 대화의 차이
'작일'과 '익일'은 주로 공식적인 문서나 뉴스,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.
일상 대화에서는 그냥 '어제'와 '내일'이라고 말하는 게 더 자연스럽다.
공식적인 표현
- 작일 발표된 정부 정책에 따르면... (공식 문서)
- 계약은 익일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. (계약서)
일상적인 표현
- 어제 영화 봤어? (일상 대화)
- 내일 만나서 얘기하자! (일상 대화)
작일 익일 무슨 말
재미있는 퀴즈로 마무리해보자
이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퀴즈를 풀어볼까요?
- "저는 ( )에 서울로 출장을 갔습니다."라는 문장에서 '어제'를 의미하는 한자어를 넣으려면?
- "주문하신 상품은 ( ) 배송될 예정입니다."라는 문장에서 '내일'을 의미하는 한자어를 넣으려면?
- 다음 중 '내일'을 의미하는 표현이 아닌 것은?
- "회의는 ( ) 오후 3시에 진행됩니다."라는 문장에서 '오늘'을 의미하는 한자어를 넣으려면?
정답: 1-② 2-③ 3-③ 4-③
쉽게 기억하는 방법
- 작일 = 작별 인사를 한 날 = 어제: '작'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'작별'이라는 단어를 연상해보자. 이미 작별 인사를 한 날이니 '어제'
- 익일 = 익숙해질 날 = 내일: '익'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'익숙'이라는 단어를 연상해보자. 아직 익숙해지지 않은, 다가올 날이니 '내일'
- 날짜 순서로 기억하기: 가나다 순으로 '작'이 '익'보다 앞에 있듯이, 시간 순서로도 '작일'(어제)이 '익일'(내일)보다 먼저라고 유추.
왜 이렇게 헷갈리냐?
어려운 한글